[Typescript] Path alias (import 경로 단축)
·
개발
코드리뷰를 받는데 Typescript를 사용한다면 import하는데 path alias 방식을 사용해보라고 조언 받았다. path alias가 무언가 했는데, 절대경로를 변수처럼 선언해서 그 경로를 줄여 간략하게 표현하는 방식이었다. 아래와같이 말이다. import myFile from "../../data/myFile import myFile from "@data/myFile" 파일을 import 하면 첫번째 처럼 ../../ 을 사용해서 상대경로로 파일을 찾아가서 import 하게 된다. 그러나 path alias를 사용해서 아래와 같이 나타낸다면 가독성 좋게 나타낼 수 있다. 내 프로젝트도 디렉토리가 많이 나누어져있기에 이 방법을 적용하면 좋겠다고 판단했다. path alias 적용 내 프로젝트의 ..
TypeScript는 왜 사용하는 걸까?
·
개발
* 자바스크립트 초 뉴비가 작성한 글입니다, 부족한 점 및 잘못된 내용은 언제나 지적 환영입니다. 현재 부스트캠프 웹 풀스택을 진행중에 있고, 언어는 자바스크립트를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캠퍼들이 자바스크립트가 아닌 타입스크립트로 전환해서 사용하고 있었다. 근래들어 타입스크립트를 많이 사용한다고만 알고 있었는데 두 언어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내가 전환해야할 이유들도 작성해보려 한다. 타입스크립트란? 그리고 자바스크립트의 특징 타입스크립트는 기본적으로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언어이다. 그리고 가장 다른점은 '타입' 의 검사이다. 타입스크립트는 타입의 명시를 필수로 하며, 그 검사를 엄격하게 수행한다.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할 때는 따로 타입을 명시하지 않아도 되고, 검사도 수행하지 않는다...
CSR, SSR 이란
·
개발
보통 페이지를 렌더링하는데 사용되는 방식은 두가지가 있다. 서버측에서 렌더링하는 SSR, 클라이언트측에서 CSR. 요새는 CSR을 많이 사용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두가지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려 한다. 우선 CSR, SSR 정리전 SPA, MPA 부터 정리하고 가보겠다. SPA (Single Page Application) SPA란 처음 데이터를 모두 받아온 다음 Single page에서 필요한 요소만 받아오는 application을 의미한다. 예로, 특정 버튼을 눌렀을 때, 헤더는 고정되어 있고 일부분만 변경되는 사이트들이다. MPA (Multi Page Application) MPA란 여러개의 페이지로 구성된 application을 의미한다.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요청했을때 새로운 html을 서..
슬랙 알람 봇 만들고 배포하기 [JAVA / SPRING BOOT]
·
개발
개요 부스트캠프 챌린지 과정에서 출석체크 및 과제 제출 등 여러 활동이 있었는데, 온라인 과정이라 그런지 개발하다가 종종 잊어먹곤 했다. 그 때 자동으로 알람봇을 만들면 좋지 않을까 생각했다. 처음에는 이전에 사용해본 라인을 사용해볼까 하다가, 캠퍼들 모두에게 도움이 되면 좋을거라 생각했다. 그래서 부스트캠프에서 사용하는 Slack에 알람 봇을 하나 만들어 캠퍼와 공유했다. 대략 4주동안 활발히 사용했다. 감사하게도 많은 캠퍼분들이 좋아해주셨고, 내가 느끼던 불편한 문제를 프로그래밍으로 해결하였던 게 뿌듯했다. 당시에 만들면서 과정을 정리를 하지 않았다. 멤버십을 앞둔 지금, 멤버십에 사용할 알람 봇을 만들면서 해당 과정을 정리하려 한다. 자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작성했다. 아래는 전체 코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