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부스트캠프 8기] 그룹프로젝트와 부캠을 마치며 (feat. 네트워킹데이)
·
회고
엊그제 시작한 거 같은 6주간의 프로젝트가 끝이났다. 아이러니하게도 끝나고나니 뿌듯함보다는 허무함과 공허함이 몰려오는 느낌이다. 시작에 따른 끝은 항상 존재하는데, 아직도 이런 끝남에 있어서는 익숙하지 않은거 같다. 프로젝트 과정이 그만큼 재밌었나 보다. 유독 싱숭생숭한 연말이지만 6주간의 프로젝트와 부스트캠프를 마무리하며 느낀점을 작성해보려 한다. 6주간의 그룹 프로젝트 우선 6주간 진행한 프로젝트동안 느낀점을 작성해보겠다. 팀마다의 룰 그리고 문화 프로젝트를 처음에 셋업할 때, 여러 컨벤션과 룰을 정하려고 노력했다. 프로젝트 관리차원으로 언제부터 언제까지를 코어타임에 둘 것이며, commit 컨벤션은 어떻게 하고, 코드 작성 방식은 어떤식으로 할 지.. 등등 의욕이 가득한 만큼 꽤나 디테일하게 하고 ..
[네이버 부스트캠프 8기] 멤버십 5주차 회고
·
회고
4주차는 어디가고 왜 5주차인가, 싶지만.. 4주차에 솔직히 별로 쓸 내용이 없어서 한 주를 건너 뛰었다. 멤버십은 4주간의 학습 스프린트를 두번 수행하는데, 첫번째 스프린트는 끝이났고, 두번째 스프린트 첫주를 끝냈다. 첫번째 스프린트가 끝나고 다음 스프린트까지 1주간의 휴식을 갖기에 시간상으로는 6주차가 맞을수도 있지만, 실질적으로 수행한 주차만 따지면 5주차니까 5주차라고 작성하겠다. 아, 특별한 점은 웹 기준으로 두번째 스프린트는 프론트와 백을 나누어서 진행한다. 5주차 또한 추석 연휴와 겹쳐서 실질적인 개발기간은 길지 않았지만 특별한 점이라면 "페어 프로그래밍" 을 진행했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번 회고에서는 짧게나마 경험했던 페어 프로그래밍에 대한 경험을 적어보려 한다. 시작과 막막함 페어 프로그..
[네이버 부스트캠프 8기] 멤버십 3주차 회고
·
회고
어느새 3주차다, 1주일만 더하면 첫번째 학습 스프린트가 끝나고 인터미션이 주어진다. 3주차는 2주차와 다르게 진행해봤고, 또 여러가지를 느끼게 되었다. 학습과 구현 그 밸런스 2주차에 후회했던 학습을 3주차에는 비교적 많이한 거 같다. 완전 만족스러울 정도는 아니지만 구현에 너무 얽매이기보다는, 내가 계획한 대로 수행할려고 노력했다. 계획또한 날짜별로 나누지 않고, 기능별로 우선순위를 두어서 위에서부터 하나씩 구현하고 학습 하는방식으로 진행했다. 덕분에 부담이 많이 줄었던 거 같다. 구현의 깊이 방향성은 좋았다고 생각하나 아쉬웠던건, 구현의 깊이였다. 이번주에는 로그인이나 회원가입 같은 인증 관련 시스템을 개발했었는데, 내 개발은 기능 구현에서 딱 끝났다. 그러니까 "회원가입과 로그인" 이 (내가 생각..